본문 바로가기

Language/JavaScript(ES6)

[Javascript]window객체

window객체는 전역객체이다.


예를 들어


a = 1 이라는 코드를 작성했을 때,


사실은

window객체에 a라는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 한 것임.


고로 

window.a = 1과 같은 의미를 가짐


그리고 윈도우 객체의 메소드 중에는


alert

confirm

prompt

open


등이 있다.

confirm : Yes No를 선택할 수 있는 경고 창을 두어 True 혹은 False값을 리턴 한다.

예시 

confirm(Do you want?);


prompt : 입력 값을 받는다. 그리고 그 입력 값을 리턴 한다.


예시

prompt("아이디가 무엇인가요?");



open : 새로운 문서를 연다.

window.open('문서.html', ); 새창에 문서를 연다

window.open('문서.html','_self');기존의 창에 추가적으로 문서를 연다. (이는 a태그의 target속성과 같은 효과를 낸다.)

window.open('문서.html','_blank');기존의 창에 추가적으로 문서를 연다.

window.open('문서.html','_ot'); 기존의 창에서 추가적으로 여는데 동일한 이름의 창이 있다면 그곳으로 문서가 로드된다.

window.open('문서.html','_blank', width=200 height = 200, resizeable=yes'); 세 번째 속성은 스타일과 관련된 속성이 온다.


이것을 통해서 다른 웹페이지의 내용을 컨트롤 할 수 있는데


예를 통해 살펴보자



첫 번째 버튼을 누르면 demo2.html이 열린다.

근데 두번째 input태그의 text타입에 값을 입력하면 winmessage라는 메소드가 이 텍스트의 value값을 파라미터로 받아 실행되는데,


winmessage 함수의 win은


win = demo2.html의 객체이다.

win은 HTML문서이기도 하기 때문에

win.document.getElementById는 결국


demo2.html객체의 document객체의 getElementById메소드를 이용해서 .innerText값을 조정하고 있는 것이다.

'Language > JavaScript(ES6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DN  (0) 2018.09.02
for 문  (0) 2018.09.02
[JavaScript] 제어 대상 찾기  (0) 2018.09.02
[JavaScript]BOM객체  (0) 2018.09.01
[JavaScript] Object Model  (0) 2018.09.0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