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OM(Browser Object Model)
말 그대로 브라우저 객체 모델
BOM객체 중에는
Location객체
Navigation객체가 있다.
이런 용도로 사용 되는데,
Locaiton객체
1. console.log(location.toString());
location객체의 문자열을 콘솔창에 리턴한다.
결과값으로는 작업하고 있는 URL 주소를 출력한다.
2. console.log(location.href);
location객체의 href(주소)를 콘솔창에 리턴한다.
결과값으로는 작업하고 있는 URL 주소를 출력한다.
3. console.log(location.toString(),location.href);
1과 2를 동시에 출력하려면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.
4. console.log(location);
객체 location에 대해 콘솔창에 리턴한다.
결과는
location {
replace : f,
assign : f,
href : "http:// 샬라샬라,
protocol : http://,
}
와 같이 객체와 객체의 속성 속성 값들이 출력된다.
5. alert(location);
이 경우에는 작업하고 있는 URL 값을 출력하게 되는데,
alert같은 경우에는 리턴값으로 무조건 문자열을 출력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이다.
그리고 4번의 속성을 통해서
location객체의 각 속성의 속성값들도 가져올수 있다.
예를 들어
console.log(location.protocol);
Location속성은 풀어보면 다음과 같다.
location.href = "URL";
위 URL주소를 입력한다면 문서의 주소를 URL로 바꾼다.
location.reload();
로케이션 객체의 리로드 메소드는 문서를 새로고침 시킨다.
Navigation객체
Navigation객체는 브라우저에 관한 객체임 이는 크로스 브라우징이랑 관련이 있음 일단은 나중에 보자
아래는 예시
console.log(navigator)
네비게이션 객체의 속성과 속성값을 나타냄
'Language > JavaScript(ES6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DN (0) | 2018.09.02 |
---|---|
for 문 (0) | 2018.09.02 |
[JavaScript] 제어 대상 찾기 (0) | 2018.09.02 |
[Javascript]window객체 (0) | 2018.09.01 |
[JavaScript] Object Model (0) | 2018.09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