쉽고 얇아서 금방 읽었다.
다만 각 계층의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을 할 때
사용해 본 적 도 없고 체감도 안되서 이해하고 읽진 안았는데
결국 핵심은 이거인듯
각각의 계층들이 하는 역할이 무엇인지 어떤 데이터가 오가는지.
응용프로그램 계층(Application)
> 다른 계층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.
> 애플리케이션들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정의
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- WWW의 Web 페이지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
FTP(File transfer Protocol) - 상호 파일 전송을 위해 사용
SMTP(Simple Mail transfer Protocol) - 메일 메시지와 그에 추가된 첨부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. 대안으로는 X.400
Telnet(Terminal emulation protocol) - 네트워크 호스트에 원격 접속하기 위해 사용
> TCP/IP 네트워크를 사용하거나 관리하는 것을 도와주는 프로토콜
DNS(Domain Name System) -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를 변환하기 위해 사용.
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
RIP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 - IP 네트워크 상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위해 라우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
SNMP(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) - 네트워크 관리 콘솔과 네트워크 장비(라우터, 브릿지, 지능형 허브)간의 네트워크 관리정보를 수집, 교환하기 위해 사용. 네트워크 관리 및 네트워크 장치와 그들의 동작을 감시, 통합하는 프로토콜. 반드시 TCP/IP네트워크에만 한정되지는 않음.
전송계층(Transport)
> ISO 7계층의 3,4계층에 해당. 자료의 송수신을 담당
>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세션과 데이터그램(datagram) 통신서비스 제공
Import informaion : Port
Layer Function --> TCP에만 존재하는 기능. UDP에는 이런 기능이 없다.
Flow Control => (TCP) Sliding Window(송신) / Congestion Window(수신)
Error Control => (TCP) ACK (에러제어) -> 송신이 응답을 못 받은 경우
> TCP/UDP이 핵심 프로토콜
> TCP/UDP에 대한 구분을 하고 데이터에 대한 제어정보가 여기에 포함됨.
TCP
> 1:1 연결 지향, 신뢰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 제공.
> TCP 연결 확립과 보내진 패킷의 확인, 순서화, 전달 중 손상된 패킷을 복구하는 책임을 짐.
UDP
> 1:1, 1:N의 비연결 지향, 신뢰할 수 없는 통신서비스 제공
> 주로 전달해야할 데이터의 크기(하나의 패킷으로 보낼 수 있는 데이터와 같은 경우) 가 작을 때 사용.
> TCP 연결 확립에 의한 부하를 피하려고 할 때 사용.
> 상위 프로토콜이 신뢰할 수 있는 전달을 책임지는 경우에 사용.
인터넷 계층(Internet)
> ISO에서 3계층에 해당.
> 어드레싱(addressing), 패키징(packaging), 라우팅(routing) 기능을 제공
> 논리적 주소인 IP를 이용한 노드간 전송과 라우팅 기능을 처리하게 됨.
> 네트워크상 최종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연결성을 제공하게 됨.
Important Informaiont : IP
Layer Function
Routing => Header(IP)
Fragmentation & Reassembly => Fragmentation(송신), Reassembly)(수신)
> 인터넷 계틍의 핵심 프로토콜은 IP, ARP, ICMP, IGMP 등
IP(Internet Protocol) - IP 어드레싱과 패킷의 분해, 재조합을 책임지는 프로토콜
ARP(Address Resolution Protocol) - 인터넷 계층 주소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의주소(하드웨어 주소와 같은)로 변환하는 역할 담당.
ICMP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 - IP 패킷의 전달에 따른 오류나 상태를 보고하고 진단하는 기능을 제공
IGMP(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) - IP 멀티캐스트 그룹의 관리를 책임짐
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(Network interface)
> OSI 7계층의 1,2 계층에 해당.
> TCP/IP 패킷을 네트워크 매체로 전달하는 것과 네트워크 매체에서 TCP/IP 패킷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담당.
> 에러 검출 기능(Detecting errors), 패킷의 프레임화(Fraimg packets)
> 네트워크 접근 방법, 프레임 포맷, 매체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설계.
Important information : MAC
Layer Function
Flow Control(흐름 제어) => Header(MAC)
Error Control(에러 제어) => Tailer(CRC)
[참고] IEEE Identifiers
- IEEE 802.3 - Ethernet standards(유선 방식 이더넷) // 기억
(주의)
인터넷 계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에 존재할수 있는 순서화, 확인 서비스의 이점을 채택하지 않음.
네트워크 인터페이스계층은 신뢰할 수 없다는 것으로 가정.
세션 확립과 순서화, 패킷 확인 등의 신뢰 할 수 있는 통신은 트랜스포트 계층의 책임임.
> 물리적 주소인 MAC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을 보낼 곳을 판단.
> 여기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ARP등이 해당, 스위치와 허브 등이 이 계층에 사용됨.
> 스위치와 라우터의 차이는 바로 계층에서도 나타난다고 볼 수 있음.
> 라우터는 IP를 이용한 3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, 스위치는 MAC을 이용한 2계층 장비.
이 이외에 보안에 관한 이야기
사실 책을 두 권 샀는데 아래 책은 살면서 다 읽을 수 있을까 싶다. ㅋㅋ
생각보다 너무 두꺼워서 천천히 읽어야 겠다.
'기타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]클라이언트와서버 (0) | 2019.01.09 |
---|